2022/23 KSP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nowledge Sharing Program, KSP)은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협력국에 맞춤형 정책자문을 제공하는 지식공유사업입니다. 이를 통해 협력국의 지속가능한 경제·사회 발전을 지원하고, 양국 간 경제협력 기회를 모색하여 국제사회의 공동번영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023년 KSP 연차보고서」는 2022년에 착수하여 2023년에 완료된 2022/23 KSP 사업을 대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scroll down

협력국 및 국제기구

협력국 및 국제기구 펼쳐보기

2004년에 시작된 KSP는 2023년까지 92개 협력국, 12개 국제기구와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견인하는 지식공유 플랫폼으로 성장

  • 20 아시아·오세아니아
    •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메콩강위원회(MRC)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인도네시아
    • 중국
    • 캄보디아
    • 태국
    • 태평양도서국포럼(PIF)
    • 파키스탄
    • 필리핀
    • 호주(신규협력국)
  • 21 중앙아시아·유럽
    •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비세그라드그룹(V4)
    • 세르비아
    • 슬로바키아(신규협력국)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알바니아
    • 우즈베키스탄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체코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튀르키예
    • 헝가리
    • 폴란드(신규협력국)
  • 12 중동·북아프리카
    • 리비아
    • 모로코
    •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UAE)
    • 알제리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집트
    • 쿠웨이트
    • 튀니지
  • 17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가나
    • 가봉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공화국
    • 르완다
    • 모잠비크민주공화국
    • 세네갈
    • 아프리카 과학기술 파트너십(PASET)
    • 앙골라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적도기니
    • 케냐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22 중남미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도미니카공화국
    • 멕시코
    • 바베이도스
    • 밸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사업추진 현황 2004-2022/23

사업 및 자문주제수 변화추이

사업 및 자문주제수 변화추이 펼쳐보기
  1. 2004년(사업수 : 2, 자문주제 수 : 11)
  2. 2005년(사업수 : 4, 자문주제 수 : 21)
  3. 2006년(사업수 : 8, 자문주제 수 : 31)
  4. 2007년(사업수 : 13, 자문주제 수 : 47)
  5. 2008년(사업수 : 21, 자문주제 수 : 72)
  6. 2009년(사업수 : 32, 자문주제 수 : 117)
  7. 2010년(사업수 : 47, 자문주제 수 : 193)
  8. 2011년(사업수 : 83, 자문주제 수 : 287)
  9. 2012년(사업수 : 129, 자문주제 수 : 435)
  10. 2013년(사업수 : 186, 자문주제 수 : 600)
  11. 2014년(사업수 : 255, 자문주제 수 : 757)
  12. 2015년(사업수 : 322, 자문주제 수 : 8885)
  13. 2016년(사업수 : 391, 자문주제 수 : 1006)
  14. 2017년(사업수 : 445, 자문주제 수 : 1118)
  15. 2018년(사업수 : 491, 자문주제 수 : 1219)
  16. 2019년(사업수 : 531, 자문주제 수 : 1304)
  17. 2020년(사업수 : 581, 자문주제 수 : 1411)
  18. 2021년(사업수 : 623, 자문주제 수 : 1492)
  19. 2022년(사업수 : 670, 자문주제 수 : 1583)

협력국 및 국제기구

협력국 및 국제기구 현황 펼쳐보기
  1. 2004년(협력국 : 2, 국제기구 : 0)
  2. 2005년(협력국 : 2, 국제기구 : 0)
  3. 2006년(협력국 : 2, 국제기구 : 0)
  4. 2007년(협력국 : 3, 국제기구 : 0)
  5. 2008년(협력국 : 4, 국제기구 : 0)
  6. 2009년(협력국 : 11, 국제기구 : 0)
  7. 2010년(협력국 : 15, 국제기구 : 0)
  8. 2011년(협력국 : 29, 국제기구 : 4)
  9. 2012년(협력국 : 34, 국제기구 : 5)
  10. 2013년(협력국 : 40, 국제기구 : 7)
  11. 2014년(협력국 : 41, 국제기구 : 7)
  12. 2015년(협력국 : 44, 국제기구 : 8)
  13. 2016년(협력국 : 38, 국제기구 : 9)
  14. 2017년(협력국 : 37, 국제기구 : 9)
  15. 2018년(협력국 : 36, 국제기구 : 10)
  16. 2019년(협력국 : 31, 국제기구 : 10)
  17. 2020년(협력국 : 36, 국제기구 : 11)
  18. 2021년(협력국 : 28, 국제기구 : 12)
  19. 2022년(협력국 : 35, 국제기구 : 12)

KSP는 2015년부터 2개년도에 걸쳐 실시됨에 따라 그래프 가로축 연도 2015-2022년은 사업 시작연도를 의미(예: 2022 →2022/23 KSP)

사업추진 현황 2004-2022/23

지역별 사업수

  • 아시아·오세아니아

    227

  • 중앙아시아·유럽

    112

  • 중남미

    183

  • 중동·북아프리카

    63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71

최근 5년간 지역별 KSP 최다 시행국가

  • 몽골

    아시아·오세아니아 74개 사업 중 14

  • 우즈베키스탄

    중앙아시아·유럽 47개 사업 중 8

  • 페루

    중남미 79개 사업 중 10

  • 요르단 이집트

    중동·북아프리카 10개 사업 중 각 2

  • 모잠비크 에티오피아 케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32개 사업 중 각 4

KSP를 통한 글로벌 지식공유 외연 확장

과거 KSP는 경제발전의 성공모델인 한국의 개발경험을 개발도상국에게 공유하며 대표적 지식기반형 개발협력사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문 분야와 협력 대상국을 큰 폭으로 확대하며 한국과 파트너 국가 간 상호 이해와 경제협력을 지향하는 글로벌 지식공유 브랜드로서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2010년 이후 중동의 산유국과는 경제 다각화 경험을 공유하였고, 동유럽의 체제 전환 국가와는 시장 경제 운영에 대한 정책 경험을 공유하였다. 특히 2020년대에 들어서는 감염병, 기후변화, 핵심기술 등 전 세계 모든 국가가 함께 해결해야 하는 동시대적 글로벌 현안에 대해 한국과 협력을 희망하는 주요 경제 선도국들의 KSP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는 2022/23 호주 KSP 사업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22/23년은 한국과 호주가 상호 호혜적인 신규협력의 기반을 다진 해이다. 호주는 미-중 간 기술 패권 속에서 국제표준화를 통해 국익 확대 및 인도·태평양의 표준 통합을 선도하고자 주요 국가들과의 기술동맹에 힘쓰고 있다. 한국은 호주의 중요한 지정학적 파트너로서, 양국은 포괄적 파트너십(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CPS) 구축 및 사이버·핵심기술 협력 양해각서 체결, 사이버·핵심기술 정책협의회 개최를 통해 한국과의 디지털·핵심 기술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있다. 양국 간 높은 협력 의지를 확인하여, 2022년 6월 호주 국립대학교 기술정책디자인센터(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Tech Policy Design Centre, ANU TPDC)는 한국과의 KSP 협력을 요청하였다. 양국 공동연구를 KDI와 함께하며 인공지능, 차세대 이동통신, 양자 기술의 분야에서 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2023년 8월, 호주 정부 고위관계자들에게 정책 브리핑을 진행하며 한-호주의 지속적인 협력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이처럼 호주와의 KSP 협력을 통해 선진국과 공동으로 기여할 수 있는 상호 관심 분야를 도출해 내고, 잠재적 협력 영역을 확대하였다. 이는 국가 간 개발 경험과 지식기반의 상호 학습(mutual learning) 개념을 확장하고자 하는 KSP 취지에도 매우 부합하다. 디지털 및 핵심 기술 분야에서 양국간 지식공유를 통해 기술적 혁신을 촉진함으로써, KSP는 경제발전경험 공유를 넘어선 새로운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이렇듯 디지털·혁신기술 분야의 국제적 규범 설정과 향후 우리나라 기업의 진출 기반 조성에 기여하는 등 KSP는 글로벌 지식공유와 외연 확장을 실현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2/23 호주 KSP 사업개요

  • 사업명: 디지털·핵심기술 분야 한-호주 파트너십 구축
  • 협력기관: 호주 국립대학교 기술정책디자인센터(ANU TPDC)
  • 사업목적
    • 한-호주 간 기술 표준화 분야 민간 파트너십 구축 협력 프레임워크 제시
    • 한-호주 사업참여자들의 인식제고와 역량강화

최종 보고서

2022/23 KSP 추진 현황

2022/23 KSP는 35개국 47개 사업을 통해 협력국의 경제 활력을 제고하고, 성장 잠재력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실시

지역별 사업 현황

사업수 협력국

  • 아시아·
    오세아니아
    • 13아시아·오세아니아 사업수 13개
    • 9아시아·오세아니아 협력국 9개
    아시아·오세아니아 협력국
    • 라오스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캄보디아
    • 몽골
    • 필리핀
    • 베트남
    • 메콩강위원회(MRC)
    • 호주
  • 중앙아시아·유럽 협력국
    • 11중앙아시아·유럽 협력국 사업수 11개
    • 8중앙아시아·유럽 협력국 협력국 8개
    중앙아시아·유럽 협력국
    • 세르비아
    • 우즈베키스탄
    • 슬로바키아
    • 키르키즈스탄
    • 아르메니아
    • 폴란드
    • 카자흐스탄
    • 헝가리
  • 중동·북아프리카 협력국
    • 6중동·북아프리카 협력국 사업수 6개
    • 5중동·북아프리카 협력국 협력국 5개
    중동·북아프리카
    • 오만
    • 쿠웨이트
    • 요르단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중남미
    • 13중남미 사업수 13개
    • 10중남미 협력국 10개
    중남미 협력국
    • 볼리비아
    • 쿠바
    • 브라질
    • 파나마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우루과이
    • 페루
    • 콜롬비아
    • 도미니카공화국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4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사업수 4개
    • 3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협력국 3개
    아프리카 협력국
    • 가나
    • 케냐
    • 르완다
0 5 10 15

정책 분야별 사업 현황

인프라·환경(23개)

  • 국토교통 11
  • 수자원위생 5
  • 에너지 4
  • 환경 3

산업분야(17개)

  • 기업정책 7
  • 과학기술 4
  • 무역 3
  • 산업정책 3

경제정책(5개)

  • 재정 3
  • 거시금융 2

공공관리(1개)

  • 행정 1

사회개발(1개)

  • 인적자원 1

2022/23 KSP

주요 자문사업

기술혁신

  • 인도네시아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운영 로드맵 구축
  • 우즈베키스탄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위한 정책자문
  • 콜롬비아 ITS 솔루션 구현을 위한 기술 표준 수립
  • 파라과이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인증제도 자문

기술혁신

인도네시아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운영 로드맵 구축

인도네시아
  • 수도 자카르타(Jakarta)
  • 1인당 GDP 4,798달러
  • 면적 191만㎢(한반도의 9배)
  • 인구 27,485만명
  • 협력부처 중소기업부(Ministry of Cooperatives and SMEs)
  • 총괄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
  • 수행기관 이노비즈협회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한국은 지난 20여 년간 22,000여 개의 이노비즈 인증을 통해 GDP 기여도 20%에 이르는 기술기반·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하 이노비즈)을 육성함으로써 '제조산업 중심 산업구조 개편' 및 '건실한 중소기업 육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등 정책적 성과를 달성

  • 세부 자문주제

    • 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인증제도 마련: 식음료 가공 중심으로
    • 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인증제도 마련: 낙농업(유제품) 중심으로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운영 및 관리방안 마련
  • 사업 추진 배경

    •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가 핵심 산업 육성을 위해 혁신 및 기술 고도화,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과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 경주
      • 2015~2035 국가 산업개발 주요계획(RIPIN), ʻ메이킹 인도네시아 4.0(2018년)' 발표
    • 2019/20 KSP를 통해 이노비즈 인증제도에 대한 타당성 및 적합성 평가(1단계)와 제조업 부문 인증지표 구축(2단계 일부)을 완료
      • 2~3단계의 후속 이행을 통한 완전한 인증제도 구축을 위해 2022/23 KSP 사업을 요청
  • 자문 및 추진 내용

    • 한국의 이노비즈 인증제도 구축 경험을 토대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인도네시아의 산업로드맵 내 중점 제조업 분야에 해당하는 자동차 및 식음료 분야에서 기술혁신성 있는 중소기업을 체계적 발굴
    • 비제조업(낙농업) 분야 이노비즈 인증지표 개발 및 이노비즈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중장기 운영 로드맵 구축 자문
      •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부 테텐 마스두키(H.E. Teten Masduki) 장관, 시티 아지자(H.E. Siti Azizah) 차관 등이 방한연수 등 사업단계에 직접 참여하였으며, 양국의 중소기업부 장관 간담회(2023.5.25.)를 통한 한-인도네시아 중소기업·스타트업 협력 MOU 관련 논의가 진행되는 등 성공리에 완료
  • 시사점

    • 인도네시아 중소기업 현황과 식음료 및 낙농업 실정에 적합한 평가지표와 운영 로드맵을 적절히 제시함. 인도네시아 내 이노비즈 인증제도 정착 및 운영이 가시화될 경우, 양국의 협력관계는 더욱 강화되고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을 기념하여 양국 간 우호적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
  • 잠정 성과

    • '이노비즈협회-인도네시아 중소기업협동조합부 기술혁신 중소기업간 기술교류 활성화를 위한 MOU(2023.5.24.)' 체결
      • '인도네시아 산업전환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화 도입 및 전문인력 양성 사업' (한국중기부-인니 중기부 협력 사업, '23~'26년, 70억 원) 연계
    •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부 산하 중소기업 마케팅 지원협회(SMESCO) 이노비즈인증제도 운영기관으로 지정을 위한 검토 예정

기술혁신

우즈베키스탄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위한 정책 자문

우즈베키스탄
  • 수도 타슈켄트(Tashkent)
  • 1인당 GDP 2,273 달러
  • 면적 448,900㎢(한반도의 약 2배)
  • 인구 3,597만명
  • 협력부처 경제재정부(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MOF)
  • 총괄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
  • 수행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 한국의 규제 샌드박스는 일반적인 '실증특례' 방식뿐만 아니라, 기업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즉시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임시허가' 및 규제유무를 주무부처가 확인하여 기업에 알려주는 '신속확인' 제도 운영
    • 금융을 포함하여 ICT 및 산업 등 실물경제 분야에서의 규제 샌드박스 운영
  • 세부 자문주제

    • 규제 샌드박스 설계 및 제도화 방안
    • 핀테크 산업 및 규제 분석을 통한 우선 추진과제 도출
    • 규제 샌드박스 운영, 관리 제도에 대한 제언
  • 사업 추진 배경

    •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지급결제 분야에 집중된 핀테크 서비스를 다양화하는 한편, 금융 산업 육성을 위해 필요한 규제 개선을 도모
    •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한국의 금융 규제 샌드박스 도입 경험을 활용하여, 자국에 적절하게 제도 개선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하에, 규제 샌드박스의 방향성을 설계하고 제도화 전략을 마련하고자 KSP 사업을 요청
  • 자문 및 추진 내용

    • 우즈베키스탄 내 규제 샌드박스 제도 도입 및 시행, 파일럿 프로젝트 분야의 관련 규제의 개선 및 부처 내․부처 간 규제 샌드박스 운영 협의체 신설을 목표
    • 특히 본 사업은 다년도 사업인 KSP Plus로 진행하여, 1년차인 2022/23년에는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위해 우즈베키스탄의 전반적 및 핀테크 분야의 규제 현황을 분석하여 우선과제를 도출하고, 규제 샌드박스운영 및 관리제도에 대한 제언을 도출
      • 일콤 놀쿨로프(Ilkhom Norkulov) 경제발전빈곤퇴치부 제1차관과 고위급 면담을 통해 KSP Plus 사업을 소개하고, 거시경제전망연구소와 중앙은행을 포함한 10개 기관 및 유관부처 관계자와 면담을 진행함으로써 향후 지속적인 업무 협조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
      • 방한 초청연수에는 우즈베키스탄의 규제 샌드박스분야 참여 주체별(주무 부처, 이행기관, 참여 민간기업)로 연수단을 구성하여 국무조정실을 비롯한, 한국핀테크지원센터, 핀테크 혁신 민간기업(페이워치, 토스, 카카오페이, 와디즈), 창업진흥원 등 관계자와의 면담 등을 통해 한국 금융 규제개혁 역사와 핀테크 산업 추세, 민간기업 실무현황을 공유
  • 시사점

    • KSP Plus 사업으로서 '23/24, '25/26 KSP 사업과 연계하여 우즈베키스탄 내 규제 샌드박스 운영총괄기관 설립 및 국내 민간기업 현지 진출을 통한 한-우스베키스탄 간 경제협력기회 창출 기대
  • 잠정 성과

    • 2023/24 KSP Plus 후속사업 실시 (우즈베키스탄 기업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규제 샌드박스 시범사업 설계) 및 우즈베키스탄 핀테크 규제 샌드박스 운영 협의체 설립 준비
    • 우즈베키스탄 법무부, 규제 샌드박스 담당 조직 진행 초안(2024년 1월) 공표
    • 신한카드, 토스, 카카오페이, 와디즈 등 국내 민간기업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우즈베키스탄 현지 진출을 위한 교두보 마련

기술혁신

콜롬비아 ITS 솔루션 구현을 위한 기술 표준 수립

콜롬비아
  • 수도 보고타(Bogota)
  • 1인당 GDP 6,658 달러
  • 면적 114㎢(한반도의 5배)
  • 인구 5,161만명
  • 협력부처 교통부
  • 총괄기관 한국수출입은행(KEXIM)
  • 수행기관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주)이젠시스, 한국도로공사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 한국은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국가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본계획 및 아키텍쳐 (서비스, 논리, 물리 부문) 개발 등이 선행되었고, 국토교통부 지정⸱고시에 따른 ITS 표준화 전담기관,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의 단체표준기구인 ITS 표준총회 운영 중

      *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교통 체증, 안전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정보 기술을 활용하는 교통 시스템

    • 한국은 '95년 최초 국제표준기구 기술위원회(ISO/TC204) 회의 참가 이래 현재까지 27년간 ITS 표준화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발전 중이며, 현재 ISO/TC204 내 활성화된 12개 워킹그룹에 모두 전문가를 파견하고 관련 위원회 활동을 전개하는 등 ITS 국제표준화 분야 위상 강화
    • 기술기준 및 KS 등 공식표준(De-jure)과 단체표준으로 대변되는 실질표준(De-facto), 그리고 성능평가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통합적 표준체계를 확립하여 국내 ITS 부문 산업 발전을 도모
  • 세부 자문주제

    • 콜롬비아 ITS 제도 및 현황 분석
    • ITS 국제 표준 및 한국의 선진 ITS 구축 사례분석
    • ITS 표준 마련 대상 선정 및 기술표준 수립
  • 사업 추진 배경

    • 콜롬비아 교통부는 한국 국토교통부의 지원으로 2020년 '국가 ITS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였으나, ITS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통합적 데이터 활용에 대한 어려움 발생
      • ①국도, 대중교통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베이스 산재 및 ②정보 간 연계를 위한 기반정보 및 표준, 연계 정보 교환을 위한 공통 표준 부재 등
    • 이에 콜롬비아 정부는 기수립된 '콜롬비아 국가 ITS 마스터플랜'을 기반으로 ITS 표준화 대상을 선정하고, 한국 사례를 통해 콜롬비아에 도입가능한 ITS 표준화 관련 법, 제도 및 거버넌스 정비 방안을 제공하여 콜롬비아 교통 관리 정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고자 KSP 사업을 요청
  • 자문 및 추진 내용

    정책관계자 역량 강화

    • 한국 사례 및 콜롬비아 현황 조사를 기반으로 ITS 표준화 수립에 있어 협력국 수요를 반영한 우선순위 식별 및 전담기관 설립 등 거버넌스 수립 마스터플랜, '돌발상황검지시스템'에 대한 표준(안) 및 한-콜롬비아 ITS 양자 협력 도모를 위한 구체적인 후속 사업추진 방안을 제공
      • 사업 착수 이후 콜롬비아 교통부 윌리엄 까마르고 뜨리아나(William Camargo Triana) 신임 장관과의 면담을 통해 협력국이 선호하는 최우선 스마트교통관리 필요부문을 확정하고, 협력국 정책실무자를 대상으로 서울TOPIS, 한국도로공사 교통센터, 정보보안센터 및 도로교통연구원을 중심으로 방문 연수를 진행하여 한국의 ITS 수집데이터 처리 방식을 구체적으로 소개
      • 교통부, 국가인프라청, 국가안전처, 국가도로청, 교통경찰 등 ITS 도입 유관 부처 관계자를 대상으로 최우선 표준화 대상 서비스 표준(안), 콜롬비아 ITS 표준화 관련 거버넌스 정비 방안 등 주요 결과를 발표
  • 시사점

    • 현재 콜롬비아는 ITS 도입 초기 단계에 있지만, 본 사업을 통해 ITS 표준화 체제 수립을 위한 기본적인 조사·분석 및 마스터플랜을 제시함으로써 콜롬비아의 중·장기적 교통관리 부문 기술혁신 및 효율화 달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
  • 잠정 성과

    • EDCF를 통한 후속 사업 지원 검토 중으로, 2024년 하반기 중 F/S 진행 예정* * 사업명 : ITS 기반 스마트 도로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사업(다기능 ANPR 카메라 설치, 스마트 CCTV 설치, 시스템 운용 인프라 설치 지원 등)

기술혁신

파라과이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인증제도 자문

파라과이
  • 수도 아순시온(Asunción)
  • 1인당 GDP 5,525 달러
  • 면적 40만 6,752㎢ (한반도의 1.8배)
  • 인구 725만명
  • 협력부처 산업통상부(Ministry of Industry and Commerce)
  • 총괄기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 수행기관 ㈜사이넥스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 K-GMP, MFDS 인증, ISO 13485 품질관리시스템 인증제도를 통해 의료산업의 성장을 도모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 중
  • 세부 자문주제

    • 파라과이의 의료기기 관련 규정 및 인증제도 현황 분석
    • 한국의 의료기기 관련 규정 및 인증제도 발전 경험 사례 연구
    • 의료기기 관련 규정 및 인증제도 개선 방안
  • 사업 추진 배경

    • 파라과이는 의료제품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자체 의료산업개발의 필요성을 절감
      • 특히, 팬데믹 기간 파라과이 국내 및 외국기업들은 호흡기, 방호복, 마스크 등 의료 제조 산업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하면서, 의료산업 전반에 대한 인증제도 개선이 시급
    • 파라과이 산업통상부는 파라과이 의료산업의 중장기적 발전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국에 의료산업 발전 방안 및 인증제도에 대한 KSP 자문을 요청
  • 자문 및 추진 내용

    • 한국 정부의 의료산업 관련 정책 수립과 이행 경험을 공유하고 인증제도 수립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파라과이 내 의료산업 발전과 관련분야의 대외 의존도를 낮출 수 있도록 지원
    • 자문주제 관련 취약 분야 인증제도 개선을 위해 현황 분석을 기초로 한 인증제도 선진화 및 국제 인증체계와의 조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도출
      • 또한, 브라질 등 인근 권역의 인증제도 및 주요 의료 강국의 인증제도와 선진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파라과이 인증제도 선진화를 통해 해외 진출 가능성 모색
    • 파라과이 산업통상부, 위생감시청, 의료기기 기업관계자 등을 초청하여 'KIMES 2023(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 'BIOKOREA 2023' 전시회 등을 참관하고, 국내 기업관계자를 대상으로 파라과이 의료산업 현황 및 진출 환경, KSP 사업에 대해 홍보하는 계기를 마련
    • 최종보고회를 계기로 현지에서 한-파라과이 정부부처 및 민간기업 간 MOU 다수 체결 추진
  • 시사점

    • 파라과이의 의료산업 발전과 인증제도 컨설팅 자문주제와 연계한 한국 기업 대상 파라과이 시장 진출 설명회, 기업 간 상담회 및 MOU 체결등 복합적으로 추진 하면서 실질적으로 한국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KSP로 발전
  • 잠정 성과

    • KSP 자문 주제 관련하여 한국 정부 부처 및 민간기업과 파라과이 산업통상부, 위생 감시청 등과 MOU 4건* 체결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파라과이 산업통상부·위생감시청 '의료 규제발전 및 인증시스템 확립 부문 협력 MOU
      • *㈜사이넥스-파라과이 산업통상부 의료산업 발전 및 인증제도 개선을 위한 양국 기업 교류 부문 협력 MOU
      • *경북도·안동시·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파라과이 산업통상부·제약협회 산업용 대마 육성 협력 MOU
      • *식약처-파라과이 위생감시청 상호협력 MOU
      • 현지 진출 희망 국내기업의 인증 절차 간소화 지원 및 양국 민관의 협력 강화 기대

디지털 전환

  • 세르비아 노비사드시 스마트시티 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전타당성 조사
  • 이집트 항만 수입품 관리를 위한 위험기반검사(RBI) 시스템 구축
  • EBRD-아르메니아 금융시장 인프라 디지털 전환

디지털 전환

세르비아 노비사드시 스마트시티 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전타당성 조사

세르비아
  • 수도 베오그라드(Belgrade)
  • 1인당 GDP 11,300달러
  • 면적 7만 7,612㎢(한반도의 1/3)
  • 인구 664만 명
  • 협력부처 노비사드시(City of Novi Sad)
  • 총괄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
  • 수행기관 서울주택도시공사, 이에스이(주), 삼성SDS㈜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 ICT 기반의 스마트시티 정책 및 거버넌스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및 도시통합정보센터 구축
  • 세부 자문주제

    • 노비사드시 스마트시티 관련 제도, 서비스, ICT 인프라 현황 및 갭 분석:
      한국의 도시통합 플랫폼 구축사례를 기반으로
    • 스마트시티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 스마트시티 데이터 플랫폼 구축 모델 및 세부 추진계획 마련
  • 사업 추진 배경

    • 세르비아는 2014년부터 EU로의 가입을 위해 제도 개선, 인프라 확대, 공공서비스 개혁 등 국가 전면의 개혁을 추진해왔으며, ICT 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성장 및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를 목표로 국가 차원의 노력 경주
      • 세르비아 정부는 2021/22년 KPS를 통해 '세르비아형 스마트시티 모델 및 전략 마련을 통한 공공서비스 디지털화'를 위한 자문을 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형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사례를 공유
    • 이에, 세르비아 노비사드시(City of Novi Sad)는 '도시통합 정보센터(플랫폼)'의 적용을 희망하며,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전타당성조사를 위해 2022/23 KSP를 요청
  • 자문 및 추진 내용

    • 노비사드시의 스마트시티 인프라 현황을 검토하고 독립적으로 운영 중인 각종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연계 및 통합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융·복합 플랫폼 마련 방안을 자문
      • 특히, ICT 인프라 기반의 도시통합정보센터(Integrated Smart City Center) 구축을 위해 경제적 편익 및 타당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실시
        *①현황분석, ②목표모델 수립, ③이행계획 수립 등
    • Zdranko Jelusic(노비사드시 의원, 사업책임자) 및 노비사드시 주요 관계자를 초청하여 서울시 및 구 단위 교통 및 안전 분야로의 통합정보센터를 방문하고 운영체계, 플랫폼 구축 단계, 요구되는 ICT 정도 등의 한국 경험을 공유
    • 최종보고회 및 Milan Duric 노비사드시장과의 면담을 통해 제도적 근간의 중요성과 실증사업 추진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정책 제안에 이어 실제 구축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실증으로의 후속사업을 제안
  • 시사점

    • 세르비아 정부는 ICT 기반의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되길 희망하고 있으며, 동 사업을 발판 삼아 한-세르비아 간 다양한 분야로의 협력과 한국 기업의 진출 확대를 기대
  • 잠정 성과

    • 노비사드시 '2030 도시개발계획'에 도시통합정보센터 구축 관련 정책제언 반영 및 데이터 통합과 연계, 센터 구축 및 스마트 솔루션 확대를 위한 제도적 근거 마련
    • 국토부 'K-City Network' 사업 신청을 위한 노비사드시 의회 검토 및 후속 사업으로의 연계 가능성 확인

디지털 전환

이집트 항만 수입품 관리를 위한 위험기반검사(RBI) 시스템 구축

이집트
  • 수도 카이로(Cairo)
  • 1인당 GDP 3,982 달러
  • 면적 99만 7,739㎢ (한반도 5배)
  • 인구 1억 275만명
  • 협력부처 이집트 수출입청(General Organization for Exports and Imports Control, GOEIC)
  • 총괄기관 한국수출입은행(KEXIM)
  • 수행기관 청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티지컨설팅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 한국의 수출입 위험물 관리는 국토교통부, 관세청 등 각 유관기관에 역할이 분산되어 있어 법·제도 또한 기관별로 제정
    • 해양수산부는 '02년부터 '위험물컨테이너점검제도' 등을 시행하여 항만 수출입 위험화물에 의한 사고를 예방
    • 한국의 관세청은 2000년대부터 FTA 활성화이후 물동량 증가 대응을 위해 국경 통합위험관리 체계 마련, 우범화물 선별시스템 도입, 정보통합 CDW (Customs Date Warehouse) 시스템 구축 등의 위험관리 인프라 마련
  • 세부 자문주제

    • 이집트 항만 수입품 관리를 위한 위험기반검사(Risk Based Inspection, RBI) 시스템 구축
  • 사업 추진 배경

    • 이집트는 무역 부문의 경제기여도를 25%까지 끌어올려 연 7%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하고, 수입품의 비체계적 분류, 복잡한 통관절차, 위험물 관리 시스템의 부재 등 알렉산드리아 항만 운영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여 물류 효율화를 이루고자 적극적인 노력 경주
    • 이집트 수출입청은 항만 운영 관련 기술수준 제고 및 항만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한국의 중앙집중형 RBI 시스템 구축 경험을 전수받고자 동 KSP 사업을 요청
  • 자문 및 추진 내용

    • 이집트 항만에서 취급하는 수입화물의 위험관리 절차, 관련 법률 및 제도를 분석 하고, 한국의 위험화물 관리 사례 연구를 통해 이집트 현황에 적용 가능한 위험 기반검사 체계와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
      • RBI 시스템 목표 모델과 시스템의 점진적 도입을 위한 단계별 세부 방안, 사업소요 예산 산출안, 이집트의 선진항만 구축을 위한 정책 개선안 등
      • Essam El Nagar 수출입청장을 포함한 수출입청 관계자, 알렉산드리아 항만 정책실무자 등이 참여하는 가운데 사업을 성공리에 완료
      • 알렉산드리아항만공사(APA) 현장 답사를 통해 컨테이너 이집트의 현행 위험물관리 시스템 현황을 진단하고, 수출입청 및 알렉산드리아 항만 위험관리 담당자 등 대상 연수를 실시하여 인천본부세관, 인천신항 컨테이너 검색센터 등 시찰 및 전문가 강의를 통해 RBI 시스템 구축 관련 경험 공유
  • 시사점

    • 이집트 항만 RBI 시스템 구축 체계 및 단계별 실행계획을 제시하고, 이집트 수출입청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RBI 시스템 구축에 수반되는 필요기술을 전수하여, 이집트 정부의 핵심과제 '수입화물 위험관리의 효과성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잠정 성과

    • 동 사업의 후속사업으로 KOICA에서 이집트 RBI 디지털시스템의 실질적 구축을 위한 예비조사 진행
      • 사업명 이집트 수출입청 수입품 검사 및 추적사업
      • 기간/규모 2025년~2029년 / 1,000만불
      • 사업내용 이집트 수출입품 RBI 디지털 시스템 구축, 샘플링 검사 랩 전산화(LIMS), 통관 후 추적검사 시스템 구축 등

디지털 전환

EBRD-아르메니아 금융시장 인프라 디지털 전환

아르메니아
  • 수도 예레반(Yerevan)
  • 1인당 GDP 4,701달러
  • 면적 29,743㎢(한반도의 13.5%)
  • 인구 296만명
  • 협력기구 및 부처 (협력기구)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협력부처) 아르메니아 중앙은행(Central Bank of Armenia)

  • 총괄기관 한국수출입은행(KEXIM)
  • 수행기관 금융결제원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 한국은행은 '94년 한은금융망(실시간 거액결제시스템)을 도입하여, 금융기관간 자금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결제리스크를 안정적으로 관리 중
    • 금융결제원은 '86년 한국의 금융전산 기간망 구축을 위하여 설립되었으며, QR코드 및 세금/요금 납부 시스템 등 소액결제 인프라를 개선 및 제공 중
  • 세부 자문주제

    • 경제시장, 인프라, 법적·제도적 체제 현황 파악 및 협력국 수요 분석
    • 한국의 디지털 금융시장 인프라 구축 경험 사례 연구
    • 디지털 금융시장 인프라 발전방안 및 실행계획
  • 사업 추진 배경

    • 아르메이나 중앙은행은 '스마트 국가 건설을 위한 정부 프로그램('17~'22)'에서 제시된 '금융시장 인프라의 디지털화' 실현을 위해, 금융 인프라의 디지털화, 현대화 등을 목표로 실시간 이체, 비현금성 결제수단 도입 등을 추진하였으나, 전문성 부족 등으로 어려움 발생
      • 이에 금융시장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KSP- -EBRD 공동컨설팅을 요청
  • 자문 및 추진 내용

    • 아르메니아 중앙은행의 지급결제 인프라 관련 시스템 개선 및 현대화 등 주제*별 정책제언 및 시스템 단계별 실행계획 제공
      • 실시간 총액결제시스템 개선 및 현대화 : 일중유동성(intraday liquidity) 공급 개선, 리스크 기반 모니터링 강화, 차액결제시점 지정 등 개선사항 제시
      • 소액결제 인프라 개선 및 현대화 : 소액결제 인프라 확충 및 개선, 관련 생태계 조성 등 개선사항 제시, 서비스 제안 및 서비스 도입에 필요한 정보 제공
      • 소액결제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 모니터링 지표 제시, 설비 인력에 대한 노하우 전수 (비용분석 정보 제시 포함)
      • 지급결제기관 거버넌스 개선 : 지급결제기관의 의사결정 구조, 멤버십 및 수수료 체계, 조직구조 및 내부 규정, IT시스템 운영 측면에서 개선사항 제시
        • 아르메니아 중앙은행 부총재 호브한네스 카차트리안(Hovhannes Khachatryan),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사업을 성공리에 완료
        • 방한 초청연수시 금융결제원, 한국은행, 신용정보원 기관방문으로 한국의 소액결제시스템 및 금융 플랫폼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
        • 특히 한국은행 부총재, 신용정보원 원장과의 면담을 통해 한-아르메니아 기관간 네트워크 구축 및 향후 협력가능성 확인
  • 시사점

    • EBRD의 중장기 전략(디지털 전환 촉진 방안 2021-2025) 목표에 부합한 공동컨설팅사업으로, 동 사업을 통해 팔레스타인 등 다른 국가에서 유사사업이 추진되는 등 한국의 금융부문 디지털 전환 기술 전파에 기여
  • 잠정 성과

    • 협력국 자체정책 반영 : 아르메니아 중앙은행은 ① 실시간 총액결제시스템 현대화 작업 개시('24년중 시스템 개선안 마련 예정), ② 소액결제 인프라 개선을 위한 법개정 검토 중
    • 국외 유사사업 전파 : ① '팔레스타인 금융부문 디지털화 개선'에 대하여 KSP 사업 신청 예정(EBRD 공동컨설팅), ② 모로코와 유사사업 추진 검토 중(EBRD 지원)

환경 · 에너지

  • 메콩강위원회(MRC) 빅데이터·AI 기반의 홍수 및 가뭄 관리 개선 방안
  • 키르기즈공화국 지방 상수도 개선 및 관리 역량 강화 방안
  • AfDB-케냐 송변전선 사업의 환경영향 평가 추진전략 수립 지원

환경·에너지

메콩강위원회(MRC) 빅데이터·AI 기반의 홍수 및 가뭄 관리 개선 방안

메콩강위원회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베트남
  • 1인당 GDP 캄보디아 2,672.8달러,  라오스 1,976.5달러,  태국 7,812달러,  베트남 4,622.5달러
  • 면적 캄보디아 18.1만㎢,  라오스 23만 6,800㎢,  태국 51만 3,100㎢,  베트남 33만 341㎢
  • 인구 캄보디아 1,718만명,  라오스 769만명,  태국 7,027만명,  베트남 1억 77만명
  • 협력부처 메콩강위원회(Mekong River Commission, MRC)
  • 총괄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
  • 수행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한국은 수문 자료의 질적·양적 수집을 통해 홍수 예측의 정확성 및 속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였고, 특히 5G로의 전환과 함께 수자원 분야에서 AI 및 빅데이터 기반 디지털트윈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

  • 세부 자문주제

    • AI-빅데이터를 활용한 가뭄·홍수예경보 기술 사례 공유
    • AI-빅데이터를 활용한 홍수예경보 시스템 기본 설계
    • AI 기반 홍수 예측 알고리즘 개발 및 현지 관계자 역량강화 방안
  • 사업 추진 배경

    • 메콩강위원회(Mekong River Commission, MRC)* 는 사무국은 20/21 KSP '메콩강위원회 홍수·가뭄 관리 예·경보 개선방안'에 대한 자문사업을 시행한 바 있으며, 그 후속으로 22/23 KSP를 통해 '빅데이터·AI 기반의 홍수 및 가뭄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자문을 요청

      * MRC는 1995년 메콩강 유역의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 및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된 정부간 기구로,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베트남 등 4개 회원국 및 미얀마, 중국이 대화상대국으로 참여

  • 자문 및 추진 내용

    • 메콩강 유역국의 홍수 및 가뭄 관리 현황을 검토하고 발전제약 요소를 분석하여 양질의 수문 데이터 수집 방안을 마련하고, 한국의 관련시스템 구축 경험 공유를 통해 빅데이터와 AI 기반 홍수 및 가뭄 예·경보 플랫폼 구축 시범 시행방안을 마련하는 전략·로드맵을 제시
      • MRC 사무국장(Anoulak Kittikhoun)을 단장으로 하여 MRC 회원국의 정책실무자 및 현지전문가를 대상으로 KDI-글로벌지식협력단지(GKEDC)-MRC 정책실무자 방한 초청 공동연수를 실시
      • 최종보고회 및 고위정책대화를 통해 한국의 AI-빅데이터를 활용한 가뭄예·경보 방법론 및 한국의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공유 등 MRC 정책에 활용을 위한 최종 연구결과를 발표
      • 2019년 한-메콩 정상회담에서 MRC와의 수자원 분야 협력을 강조한 바와 같이, 동 사업을 통해 한국과 MRC의 수자원 부문의 민간협력 확대 기회를 모색하고 호혜적 경제협력 관계 유지에도 기여
  • 시사점

    • 메콩강 하류 유역의 홍수 및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고, MRC의 요구에 맞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제안
      •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홍수 및 가뭄 관리 체계 개선으로 회원국 간 기술 수준 차이를 줄이고, 'MRC 전략 계획 2026~2030'과 '메콩강 유역 개발 전략 2030~2041'의 달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잠정 성과

    • 'MRC 전략 계획 2026~2030'에 스마트물관리 관련 반영 검토 중
    • MRC 및 회원국 전문가 AI 적용한 홍수예·경보 지식 향상 및 역량 강화

환경·에너지

키르기즈공화국 지방 상수도 개선 및 관리 역량 강화 방안

키르기즈공화국
  • 수도 비슈케크(Bishkek)
  • 1인당 GDP 1,372달러
  • 면적 199,951㎢(한반도의 0.95배)
  • 인구 675만명
  • 협력부처 건축, 건설, 주택 및 공공서비스청 산하 공공상하수도국(DDWSSD)
  • 총괄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
  • 수행기관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외건설협회, (주)삼안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 한국은 해방 이후 대규모 댐과 정수처리장 건설을 통해 깨끗한 물의 공급량을 늘렸으며, 1970년대 이후 수자원 관리 및 공급 체계를 현대화
      • 대형 급수 시스템 도입 및 61개 수질기준에 대한 정기적 검사 실시
      • 소규모 수도시설은 비용 효용을 고려한 검사 시행 및 자동화 노력
      • 한국수자원공사법 제정, K-water의 상수도 전문조직을 구성하여 국가 전반의 물 관련 시설계획, 유지관리 및 재원투입계획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 세부 자문주제

    • 키르기즈공화국 2개주(잘랄아바드, 추이주)를 분석대상으로 한 지방상수도 갭 분석
    • 한국의 상수도 개선 경험 사례연구
    • 키르기즈공화국 상수도분야 정책 및 인프라 개선을 위한 비교분석, 정책제언 및 실행계획 수립
  • 사업 추진 배경

    • 키르기즈공화국 정부는 '2018-2040 지속가능한 국가 개발 정책'의 주요 목표로 안정적 식수 공급을 제시하고, '주거지 내 식수 공급 및 하수도 시스템을 위한 프로그램' 결의안을 승인
      • 2023년까지 우선순위가 높은 715개 마을에 상수도 시스템을 구축 및 재건 목표를 수립
    • 키르기즈공화국 정부는 해당 프로그램에서 제시된 개선 필요성이 높은 지역의 지방 상수와 위생시설 구축 및 운영에 있어서 한국의 경험을 공유받고자 KSP를 통해 정책자문을 요청
  • 자문 및 추진 내용

    • 키르기즈공화국의 안전한 물 공급 방안에 대해 현지 지방 상수도 실태와 발전제약 요소를 분석하고, 한국의 수도사업 사례 및 경험을 바탕으로 현지 상황에 적합한 정책적, 기술적 방안을 제언
      • 건축, 건설, 주택 및 공공서비스청(GOSSTROY) Myrzabek Zhyparkulovich 청장(장관급)을 포함한 GOSSTROY 고위급 관계자가 사업 전체 단계에 참여하며 사업을 성공리에 완료
      • 잘랄아바드(Jalalabad) 및 추이(Chui) 2개 주(州) 사업대상 선정 지역의 지방 상수도 현황 분석, 한국의 상수도 개선 경험 사례 연구, 상수도 정책 및 인프라 개선을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
      • 또한, GOSSTROY가 82개 지역 상수도 개선을 목적으로 기신청한 EDCF로의 사업 타당성 확보를 위해 동 사업 연구 결과물의 EDCF 사업으로의 연계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
  • 시사점

    • 키르기즈공화국의 지방 상수도 규모를 고려하여 마을 단위 소규모 급수시설, 디지털 기반 통합 관제 센터 등 현대화 사례 등 한국의 발전단계별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국에 즉시 적용 가능한 경험을 공유하는 동시에 미래 상수도 인프라 구축의 청사진 마련
  • 잠정 성과

    • 환경산업기술원(KEITI) 개도국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 사업 연계 예정*

      * '25년 무상원조 시행계획 반영 → 마스터플랜 구축 및 EDCF 관계기관 협의('25년~'26년) → EDCF 차관사업 타당성조사('26년~'27년) → 본 사업 실시('27년 이후)

    • (잠정) K-water 벤치마킹 상하수도 관리 전문기관 설립 예정

환경·에너지

AfDB-케냐 송변전선 사업의 환경영향 평가 추진전략 수립 지원

케냐
  • 수도 나이로비(Nairobi)
  • 1인당 GDP 2,200달러
  • 면적 58만㎢(한반도의 2.6배)
  • 인구 5,092만명
  • 협력기구 및 부처 (협력기구)아프리카개발은행(AfDB), (협력부처) 케냐 에너지부

  • 총괄기관 한국수출입은행(KEXIM)
  • 수행기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동일기술공사,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scrool down
  • 유관 한국 경험

    기후변화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송전선로 인프라 고도화 시도

    • 지능형 전력망 구축 : ICT 기술과 전력 인프라를 융합하여 전력 수요와 공급을 최적화
    • 지역별 최적 송변전 인프라 구축: 지역 내 에너지 효율성 및 전력수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각 지역 환경에 적합한 송변전 인프라 구축 노력
    • 고압 전력선로 지중화 사업 : 고압 전력선로로 인한 대기오염과 동물 충돌 사고를 줄이기 위해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지중케이블 확대 설치
  • 세부 자문주제

    • 기후변화 대응 역량 현황 분석
    • 인프라 사업에 따른 환경·사회영향 최소화 방안
    • 한국의 지속가능한 송변전 프로젝트 추진 경험 사례연구
    • 송변전 프로젝트 추진시 영향, 편익, 목표달성도 평가 방안
  • 사업 추진 배경

    • 최근 케냐 정부는 송변전시설 확충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자연재해 등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한 시설 피해 최소화와 같은 효과적인 기후변화 대응전략 마련 등에 정책적 노력 추진
    • 케냐 에너지부 및 케냐송전공사(Kenya Electricity Transmission Company, KETRACO)는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송변전시설 설계(탄소 배출량 분석 등 환경영향평가 포함)를 위한 KSP-EBRD 공동컨설팅을 요청
  • 자문 및 추진 내용

    • 케냐 송변전시설 도입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영향평가 방안 및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송변전시설 설계방안을 지원하고, 이와 관련된 한국의 경험을 공유
      • 케냐 정부의 정확한 수요 파악을 통해 본 사업의 연구범위를 최종 확정하고, AfDB의 동아프리카 전력사업 추진전략을 공유
      • 케냐 에너지부 관계자들을 방한 초청하여 한국의 기술과 경험 관련 강연 및 주요 기관 방문을 통해 화재·태풍·홍수 등 자연재해 피해 최소화 방안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
      • 케냐 정부는 향후 케냐 송변전 인프라 구축사업 투자 유치를 위한 기초자료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하고, 동 연구 결과의 정책도입 가능성에 대해 높이 평가
  • 시사점

    • 케냐 정부는 '국가 기후적응 계획(National Adaptation Plan 2015-2030)'에 따라 2030년까지 '기후 탄력성 증진을 위한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보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동 KSP 사업을 통해 관련 정책실무자들의 지식 활용성 확장에 시의적절히 기여
  • 잠정 성과

    • EDCF-AfDB 협조융자 연계 사업 승인*(1억불/송전망 구축 및 변전소 확충 등)
      * 한-아프리카 에너지투자프레임워크(KAEIF, Korea-Africa Energy Investment Framework) 체결('21.6) → 본 KSP 사업 진행과 동시에 AfDB-EDCF 협조 융자 검토 진행 → 협조융자 사업 승인('23.6)

행사소식

scrool down

2023 KSP 성과공유컨퍼런스

2023년 KSP 성과공유 컨퍼런스는 '경제 안보 전략으로의 지식공유사업 역할 전환'을 주제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태로 개최하였다. 정부 부처 관계자, 국제기구 관계자, 주한 외교사절, 협력국 관계자, 일반 대중 등 국내외 총 500여 명이 현장 참석하여 핵심기술·기후변화·금융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의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경제·환경 변화에 대응해 KSP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 개요

  • 주최 기획재정부
  • 주관
    • 한국개발연구원(KDI)
    • 한국수출입은행(KEXIM)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 일자
    2023년 9월 11일(월) 09:30~13:00
  • 장소
    서울 웨스틴조선 그랜드볼룸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병행

프로그램

  • 개회식 및 기조연설
    • (개회사)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
    • (환영사) 조동철 KDI 원장
    • (축사) 제프리 삭스 美 컬럼비아대학교 교수 (온라인 참여)
  • 본세션 - '경제안보 전략으로의 지식공유사업 역할 전환' KSP 대표성과 공유
    • [KDI] 인도네시아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운영 로드맵 구축
    • [KOTRA] 파라과이 의료기기 관리시스템 및 인증제도 자문
    • [KEXIM] 르완다 E-모빌리티를 통한 국제감출 실적 활용 역량강화
  • 분과세션 - 민간 제안사업과 후속연계 지원
2023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성과공유컨퍼런스 현장 경제안보 전략으로의 지식공유사업 역할 전환 개회식 2023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성과공유컨퍼런스 단체사진 민간 제안사업과 후속연계 지원 발표 현장 기조연설 현장 본세션 현장
2023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성과공유컨퍼런스 현장
경제안보 전략으로의 지식공유사업 역할 전환 개회식
2023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성과공유컨퍼런스 단체사진
민간 제안사업과 후속연계 지원 발표 현장
기조연설 현장
본세션 현장

성과공유컨퍼런스 영상

행사소식

scrool down

2023 KSP 유럽 지역 세미나

최근 유럽 지역 내 수요가 큰 KSP 분야에 대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제안하는 한편, 사업의 성과를 확산하고 미래 협력 저변을 넓히고자 '혁신주도 경제 실현을 위한 지식기반 협력 전략'을 주제로 '2023 KSP 유럽 지역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동 세미나에는 유럽 7개국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이는 역대 지역 세미나 중 가장 많은 수의 참가자로, KSP에 대한 유럽 지역 국가의 높은 관심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행사 개요

  • 주최 기획재정부
  • 주관
    • 한국개발연구원(KDI)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 일자
    2023년 9월 18일(월) 09:30~14:30
  • 장소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크라운플라자
  • 주제
    혁신주도 경제 실현을 위한 전략(Toward Innovation-led Economy)
  • 세션구성
    • 1세션 - 공공부문 혁신을 위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 2세션 - 민간혁신을 통한 역동적 경제로의 도약
    • 3세션 - 미래위기 대응을 위한 신산업 육성과 한국·유럽 간 KSP·EIPP 협력방안 모색
  • 연계행사
    • 주세르비아한국대사관-KOTRA 베오그라드 무역관 주관 '비즈니스 포럼' 개최
아시아 지역세미나 현장 사진 아시아 지역세미나 단체 사진 아시아 지역세미나 패널 사진 아시아 지역세미나 단체 사진 아시아 지역세미나 단체 사진
아시아 지역세미나 현장 사진
아시아 지역세미나 단체 사진
아시아 지역세미나 패널 사진
아시아 지역세미나 단체 사진
아시아 지역세미나 단체 사진

행사소식

2023 KSP 사업신청 온라인 설명회

KSP 사업신청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하여 KSP 사업 신청을 희망하는 33개 협력국 관계자 총 173명을 대상으로 KSP 사업 특성, 사업제안서 작성 및 접수절차를 상세히 안내하고, 협력국 관계자의 문의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하였다.

행사 개요

  • 일시 2023년 10월 18일(화) 18:00-21:00
  • 장소
    KDI 국제정책대학원 링컨홀 (온라인 개최)
  • 참석자
    33개국 협력국 정부, 국제기구 관계자 등 173명
  • 주최
    기획재정부
  • 주관
    한국개발연구원(KDI)
KSP 사업신청 온라인 설명회1 KSP 사업신청 온라인 설명회2
KSP 사업신청 온라인 설명회1
KSP 사업신청 온라인 설명회2

KSP 성과 관리

KSP 사업 효율화와 효과성 제고를 위해 매년 단·중기 성과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단기 성과의 경우 종료 2년 이내 사업을 전수 조사하고, 중기 성과의 경우는 정책적 중요도, 추적평가 중 잠정 성과 확인 여부 등을 통해 선별된 협력국의 2년 이상 경과된 사업을 대상으로 추적하고 있다. 성과 모니터링 결과는 후속사업 발굴, 차년도 사업추진 방식 개선, 성과 홍보 및 확산 등에 활용한다.

  • Step 1 대상국가 선정
  • Step 2 문헌조사
  • Step 3 국내관계자 인터뷰
  • Step 4 현지관계자 인터뷰
  • Step 5 분석

중기 성과 추적 결과

2023년 중기 성과추적은 중부 유럽 지역협력체인 비셰그라드 그룹(Visegrád, V4) 회원국 중 슬로바키아, 헝가리, 체코 3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성과추적을 통해 과거 KSP 사업의 중기 성과를 검토함으로써 KSP의 사업 기획 및 운영에 시사점을 환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인 비셰그라드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후속사업 기회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추적 결과 협력대상국 자체 정책 반영(7개), 신규 사업수요 발굴을 포함한 국내 후속 협력 연계(3개) 등 총 10개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KSP 성과관리

슬로바키아

2019/20

  • 협력국 V4(슬로바키아)
  • 협력부처(기관) 혁신에너지청
  • 사업주제 과학기술
슬로바키아 -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안내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성과 분류

4차 산업혁명의 전 세계적 추세에 부합하여 슬로바키아 주요 산업 비중을 구성하는 제조업의 혁신 방안 마련 필요

슬로바키아 디지털 성숙도 평가체계 도입 및 디지털 전환 사업시 활용

협력대상국 자체 정책 반영

'European Digital Innovation Hub (EDIH)' 활용하여 디지털 전환 희망 기업 지원

협력대상국 자체 정책 반영

22/23 KSP 사업 연계 및 현지전문가 방한 장기 연수 실시('23.10~11)

국내 후속 협력

최종보고서

2017/18

  • 협력국 V4(슬로바키아)
  • 협력부처(기관) 혁신에너지청
  • 사업주제 과학기술
슬로바키아 -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안내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성과 분류

4차 산업혁명의 전 세계적 추세에 부합하여 슬로바키아 주요 산업 비중을 구성하는 제조업의 혁신 방안 마련 필요

'RIS3 슬로바키아 2021' 보고서 작성 시 정책제언 활용

협력대상국 자체 정책 반영

최종보고서

2016/17

  • 협력국 V4(슬로바키아)
  • 협력부처(기관) 혁신에너지청
  • 사업주제 과학기술
슬로바키아 -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안내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성과 분류

4차 산업혁명의 전 세계적 추세에 부합하여 슬로바키아 주요 산업 비중을 구성하는 제조업의 혁신 방안 마련 필요

제조업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Infrpturue) 운영('17~'18)

협력대상국 자체 정책 반영

최종보고서

주요 성과

헝가리

2019/20

  • 협력국 V4(헝가리)
  • 협력부처(기관) 외교부 연구개발청
  • 사업주제 과학기술
헝가리 -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안내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기술개발에 소극적인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 강화 지원 필요

기존 사업 관련 협력 수요 발굴로 한-헝가리 협력 지속 * 중소기업 R&D 인프라 지원과 상업화 지원

국내 후속 협력

최종보고서

2015/16

  • 협력국 헝가리
  • 협력부처(기관) 경제개발부
  • 사업주제 고용·노동
헝가리 -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안내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청년층 창업 지원을 통한 고용 개선 필요

일자리 매칭포털 (KarrierM) 개선 및 관리조직 일원화

협력대상국 자체 정책 반영

최종보고서

2014

  • 협력국 헝가리
  • 협력부처(기관) 문화혁신부*
  • 사업주제 고용·노동
헝가리 -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안내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기존 공공고용서비스와 직업훈련시스템의 낮은 실효성

배움카드제도 도입을 준비 중* * 2024년 중 시범 사업을 실시하여 2025년 상반기 내 정식 도입 여부 결정 예정

협력대상국 자체 정책 반영

* 사업 당시 주관부처는 국가경제부(Ministry of National Economy, MNE)였으나 이후 부처 개편 이후 고용, 직업훈련 일부 업무가 문화혁신부로 이관

최종보고서

2013

  • 협력국 헝가리
  • 협력부처(기관) 재무부
  • 사업주제 거시·금융정책
헝가리-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안내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2008년 금융위기시 긴축 재정 위주의 단기 대책에 치중, 2010년 EU 평균(2.23%) 대비 낮은 경제성장률(1.08%)을 기록

다양한 거시 정책으로 경제 기초체력 강화, 2021년 EU 평균(5.47%)을 상회하는 성장률(7.20%)을 기록하고 주요 경제지표도 크게 개선

협력대상국 자체 정책 반영

최종보고서

주요 성과

체코

2021/22

  • 협력국 체코
  • 협력부처(기관) 산업통상부
  • 사업주제 에너지
체코 -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안내
정책 현안 중기 성과 장기 성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안보위기 심화

기존 사업 관련 EIPP 협력 수요 발굴로 한-체코 협력 지속* * 전력계통, 스마트시티, 미래차, 녹색에너지

국내 후속 협력

최종보고서
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