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KSP는 경제발전의 성공모델인 한국의 개발경험을 개발도상국에게 공유하며 대표적 지식기반형 개발협력사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문 분야와 협력 대상국을 큰 폭으로 확대하며 한국과 파트너 국가 간 상호 이해와 경제협력을 지향하는 글로벌 지식공유 브랜드로서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2010년 이후 중동의 산유국과는 경제 다각화 경험을 공유하였고, 동유럽의 체제 전환 국가와는 시장 경제 운영에 대한 정책 경험을 공유하였다. 특히 2020년대에 들어서는 감염병, 기후변화, 핵심기술 등 전 세계 모든 국가가 함께 해결해야 하는 동시대적 글로벌 현안에 대해 한국과 협력을 희망하는 주요 경제 선도국들의 KSP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는 2022/23 호주 KSP 사업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22/23년은 한국과 호주가 상호 호혜적인 신규협력의 기반을 다진 해이다. 호주는 미-중 간 기술 패권 속에서 국제표준화를 통해 국익 확대 및 인도·태평양의 표준 통합을 선도하고자 주요 국가들과의 기술동맹에 힘쓰고 있다. 한국은 호주의 중요한 지정학적 파트너로서, 양국은 포괄적 파트너십(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CPS) 구축 및 사이버·핵심기술 협력 양해각서 체결, 사이버·핵심기술 정책협의회 개최를 통해 한국과의 디지털·핵심 기술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있다. 양국 간 높은 협력 의지를 확인하여, 2022년 6월 호주 국립대학교 기술정책디자인센터(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Tech Policy Design Centre, ANU TPDC)는 한국과의 KSP 협력을 요청하였다. 양국 공동연구를 KDI와 함께하며 인공지능, 차세대 이동통신, 양자 기술의 분야에서 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2023년 8월, 호주 정부 고위관계자들에게 정책 브리핑을 진행하며 한-호주의 지속적인 협력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이처럼 호주와의 KSP 협력을 통해 선진국과 공동으로 기여할 수 있는 상호 관심 분야를 도출해 내고, 잠재적 협력 영역을 확대하였다. 이는 국가 간 개발 경험과 지식기반의 상호 학습(mutual learning) 개념을 확장하고자 하는 KSP 취지에도 매우 부합하다. 디지털 및 핵심 기술 분야에서 양국간 지식공유를 통해 기술적 혁신을 촉진함으로써, KSP는 경제발전경험 공유를 넘어선 새로운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이렇듯 디지털·혁신기술 분야의 국제적 규범 설정과 향후 우리나라 기업의 진출 기반 조성에 기여하는 등 KSP는 글로벌 지식공유와 외연 확장을 실현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2/23 호주 KSP 사업개요

- 사업명: 디지털·핵심기술 분야 한-호주 파트너십 구축
- 협력기관: 호주 국립대학교 기술정책디자인센터(ANU TPDC)
- 사업목적
- 한-호주 간 기술 표준화 분야 민간 파트너십 구축 협력 프레임워크 제시
- 한-호주 사업참여자들의 인식제고와 역량강화